![]()
![]()
목차
Ⅰ. 정의 & 원리
1. 정의
2. 구성요소
3. 원리
4. CRRT mode
Ⅱ. 적응증
Ⅲ. 합병증
Ⅳ. 관련 간호(합병증 예방 포함)
1. CRRT 적용 준비
2. 감염 예방
3. 카테터 Remove 및 꼬임 방지
4. 혈액 응고 방지
5. 환자 모니터링
6. CRRT Setting값
7. CRRT 알람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정의 & 원리
1. 정의
● CRRT: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지속적 신대체 요법)
● 24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혈액에서 과도한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투석 치료의 형태
● 혈액 투석과의 차이점
(HD와 CRRT의 차이점을 정리한 표)
→ HD가 짧은 시간(2~4시간)에 많은 양의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반면, CRRT는 본래 신장 기능과 비슷하거나 더 느린 속도로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
⇒ 혈역학적으로 급격한 변동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에게 안정적인 신대체요법을 시행할 수 있음
⇒ HD 시 빠른 혈류 속도로 발생할 수 있는 뇌부종을 예방할 수 있어 ICP가 높은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
2. 구성요소
● Access line: 혈액을 인체로부터 빨아들이는 line (renal artery 역할)
● Return line: 혈액을 인체로 돌려보내는 line (rena vein 역할)
● Hemofilter: 신장의 물질 교환 원리를 대신 수행 (kidney 역할)
● Filtrate line, Drainage bag: 걸러진 노폐물이 Filtrate line을 통해 Drainage bag으로 수집(ureter, bladder 역할)
● Anticoagulation line
3. 원리
1) 반투막 Semipermeable Membrane
● 작은 크기의 구멍(세공)을 가진 얇은 막으로 세공보다 크기가 작은 입자는 통과하지만 큰 입자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머무르게 됨⇒ 양쪽 용액 사이의 용질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세공을 통한 물질 이동이 일어남
● 세공보다 작은 입자: 수분, 전해질, 질소계통 노폐물
● 세공보다 큰 입자: 적혈구, 백혈구, 혈장 단백
2) 확산 Diffusion
● 두 용액 내의 물질 입자들이 농도 차이에 의해 반투막의 세공을 통해 이동
● 물질 이동 방향: 고농도 → 저농도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