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판막협착증-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목차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징후

5. 치료(수술 포함)
1) 판막교정술
(1) 판막섬유고리성형술
(2) 판막성형술
(2-①) 피부경유 풍선성형술
(2-②) 판막연합절개술

2)판막대치술(판막치환술)
(1) 조직판막
(2) 금속판막

6. 진단검사
1) 심장 초음파 검사
2) 심도자술

7. 간호

본문내용

1. 정의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며, 대동맥의 혈액이 좌심실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대동맥판막은 정상 구조에서 3개의 얇은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ㅅ’자 모양을 하고 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이란 대동맥판막 소엽이 융합되거나 석회화되어 대동맥판막이 좁아지게 되고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이동하는 과정에 장애가 생기게 되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장은 더욱 더 강하게 수축하게 된다.(이하 생략)

2. 원인
과거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주요 원인이었던 류마티스열은 최근 전반적인 위생상태가 호전되고 생활 수준 향상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젊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주요 원인은 대동맥판막의 선천성 기형(이첨판막, 단일판막)이며, 노인에게서 발견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 판막에 칼슘이 침착되어 석회화가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퇴행성인 경우(죽경화)가 가장 흔하다.

<중 략>

3. 병태생리
대동맥판막이 협착되면 심실수축기 동안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좌심실벽이 두꺼워진다. 좁아진 출구로 인해 대동맥으로 향하는 혈액이 박출되는 과정에서 장애를 받게 되며 후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수축기 압력차가 일어나게 되고, 그로 인한 보상기전으로 좌심실이 비대된다. 또한 협착증이 진행되면서 심박출량이 감소하게되고 좌심방은 적절히 비워지지 못해 폐혈관이 울혈되며 좌심부전을 일으키게 된다.(이하 생략)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