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기관지염 스터디케이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II. 본론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임상검사
(3) 투약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3개-우선순위 순서대로 작성)
(2)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정의
세기관지염(bronchiolitis)은 감염원(바이러스나 세균)이 작은 기도인 세기관지에 염증과 폐쇄를 일으킬 때 발생하는 하기도 질환이다. 2세 미만의 아동에게 주로 나타나며 3~6개월의 영아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다. 기침과 천식음, 짧은 호흡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아이의 수유가 어려울 수 있다. 대부분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며 기관지 확장제, 네뷸라이져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실시한다. 세기관지염이 있는 영아는 생후 첫 1년 동안 재발성 천명음의 위험이 증가한다.

② 원인
세기관지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로 전체 원인의 80%를 차지하며, 그 외에 아래와 같은 다양한 원인들이 있다.
1) Virus
(1)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 모세기관지염의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
(2) adenovirus
(3) influenza virus, Parainfluenza virus
(4) rhinovirus
2) 세균
(1) 백일해균, 인플루엔자간균, 폐렴구균, 결핵균, mycoplasma
(2) 홍역․수두의 흔한 합병증
3) 곰팡이(진균 / fungus)
4) Allergy : 꽃가루에 의한 allergy 반응으로 인한 염증
5) 환경적 요인 : 기온, 흡연, 공기 오염
6) 이차적 발생 : 앓고 있던 호흡기 질환이 있을 때 이차적으로 발생
ex) 결핵(tuberculosis), 크룹(croup), 폐렴(pneumonia)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