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과제- 기도유지, 아동심폐소생술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도유지
1) 심정지 환아의 기도유지
2) 기도폐쇄 시의 대처

2. 아동의 심폐소생술
1) 일반인을 위한 아동기본소생술 순서
2) 의료인을 위한 아동기본소생술 순서
3) 의료인을 위한 아동전문소생술 순서

Ⅲ. 결론

Ⅳ. 국시문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간호학에서 10세 000 환아는 혈액검사 결과에서 BST는 230mg/dl, 150mg/dl, 156mg/dl등, HbA1C에서는 11.1%등으로 혈당수치가 높다는 것, 인슐린 수치가 1.49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혈당수치가 높다는 것은 당뇨병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당뇨병의 대혈관질환 합병증으로는 관상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등이 있는데, 이런 질환은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심정지의 문제가 일어나면 심폐소생술을 해야 하는데 아동의 경우는 성인과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성인과 아동의 심폐소생술의 차이점에 대해 궁금증을 갖게 되어 아동의 심폐소생술과 기도유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기도유지
1) 심정지 환아의 기도유지
(1) 아동의 기도: 체구에 비해 작고 폐쇄되기 쉽다.
(2) 과정
① 기도를 유지하고 호흡과 순환 상태를 평가한다.
② 두부후굴 하악거상법(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림)으로 기도를 유지한다.
③ 기도를 확보한 후 환아의 입 속에 이물질이나 분비물이 있으면 제거한다.
(3) 주의사항: 만약 척추손상이 의심되면 머리를 뒤로 젖히지 않고 하악전굴법(턱을 밀어 올림)을 이용하여 기도를 개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