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사례연구 동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사례연구 동기
00병원에서 00년 00월 00일부터 00년 00월 00일까지 분만 수술실에서 실습하였다. 실습하는 기간 동안 제왕절개와 자연분만으로 출산하는 모습을 실제로 관찰할 수 있었다. 내가 실습을 하는 동안 제왕절개의 빈도가 자연분만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로 조사한 결과, 제왕절개의 빈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1994년 통계에 의하면 전체분만의 31.5%를 차지하며, 점차 증가하여 1999년 하반기에는 39.2%에 이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 략>
간호진단 1. 분비물과 관련된 흡인의 위험
간호사정
객 관 적 자 료
– 산모: 임OO / 34세
– 분만 형태: 제왕절개(둔위분만)
– 분만 직후의 대상자가 우는 것을 관찰함.
– 기도 흡인 시행하는 것을 관찰함.
– 출생일: 2023년 8월 14일, 성별: 여
– 재태기간: 38주 3일, 출생 시 체중: 2,450g(저체중아), 출생 시 신장: 45cm
– Vital: 체온 36.8℃ (2023.8.14.16:00), 맥박 149회, 호흡 45회, Sp 02 92~100% (2023.8.14.10:20)
– 태반: 500g, dark red color, Schultz
간호목표
1. 대상자는 분만 직후 30초 이내에 첫 호흡(첫울음)을 할 것이다.
2. 대상자의 비강과 구강의 점액과 분비물이 제거될 것이다.
간호계획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계획
<진단적 계획>
1. 대상자 호흡의 깊이, 속도, 횟수와 피부색을 사정한다. (정상 범위: 30~60회/분, 분홍빛 피부)
2. 대상자 비강과 구강의 점액과 분비물이 있는지 사정한다.
<중 략>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의 ‘첫울음’을 사정하고 유도한다.
4-1. 대상자의 발바닥이나 등을 문지르는 등의 자극을 통해 호흡을 유도한다.
5. 구상 흡인기(Bulb 주사기)나 카테터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비강과 구강의 분비물을 흡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