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여성 – 자궁경관무력증 (IIOC)

목차

I. 서론
(1) 연구목적
(2) 문헌고찰: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경과/합병증, 예방방법

II.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III.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1) 정의
자궁경부의 구조적 및 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2기 또는 3기 초기에 진통이나 자궁수축 없이 무통성 자궁경부 개대가 있으면서 양막이 질내로 탈출되거나 파열되어 조기양막파열로 인한 조산이나 습관성 유산이 되는 것이다. 임신 2기에 임신이 중단되는 경우 10~20% 이상은 자궁경부무력증 때문이다. 자궁경부무력증의 발생 빈도는 출생의 1/1,000, 유산의 1/100, 습관성 유산의 1/5로 추정된다.
(2) 원인
원인은 외상성과 비외상성으로 나뉜다. 외상성으로는 과거 경관 개대 및 소파술, 소작술, 원뿔절제술, 경부절단술 등으로 인한 자궁경부의 외상이 있다. 비외상성으로는 선천적으로 자궁경부가 짧거나 경부 발육이상, 임신 중 스틸베스테롤(diethylstilbes-trol, DES)복용과 관련이 있으며 자궁경부 조직의 구성(콜라겐 결핍) 및 모체의 스트레스도 조기 자궁경부 개대와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
(3) 증상
자궁 경부 무력증은 보통 임신 제 2삼분기에 특별한 자궁 수축이나 진통 없이 자궁 경부가 개대 되는데, 특별히 전형적인 증상은 없다. 무통성 개대, 이슬, 양막의 팽윤, 요통, 골반통, 배변감, 질 압박감, 질출혈 등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나 대부분 비특이적이며 정상 임신으로 인한 증상과 유사하여 조기에 진단이 어렵다.

간호진단
1. 조산 가능성과 임신 상실의 위협과 관련된 불안

주관적 자료
1. “아기 상태는 어떤가요? 너무 걱정돼요.”
2. “조산 될까봐 너무 겁나요, 전에는 이런적이 없었는데”

객관적 자료
1. beck 불안 척도 20점 측정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로 불안이 감소됨을 말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Beck 불안 척도가 8점으로 측정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