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조작이론및실험2_단증류_결과

목차

1. Abstract
2. Experiment
3. Result & Discussion
4. Conclusion

본문내용

1. Abstract
이번 실험은 단증류 실험으로 단증류 실험장치의 조작과 실험방법을 이해하고, 20wt%, 40wt%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해 단증류 실험을 하고 그 유출액과 잔류액의 양을 구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Rayleigh식으로 구한 이론적 값과 오차율을 계산해볼 수 있다. 20wt%, 40wt%의 에탄올 수용액을 제조하여 가지달린 플라스크내에 수용액을 넣고 가열해주면 80℃를넘기면서 에탄올이 기화되고 기화된 에탄올은 냉각수를 지나면서 다시 응축되고 액체상태가 된다. 이렇게 얻어준 유출액과 플라스크에 남아 있는 잔류액의 질량을 측정해주는 것이다. 측정해준 값을 이용하여 에탄올의 조성과 비휘발도,실험값과 이론값의 비교를 통한 오차율등을 구해줄 수 있었다. 실제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값은 이상적으로 나오지않았다. 이는 실험과정에서 파라필름이 녹으면서 에탄올이 손실되는 문제가 가장 큰 오차원인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단증류실험에서 실험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장치의 연결부에 파라필름을 잘 감아 에탄올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2. Experiment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시약과 기구는 에탄올시약, 증류플라스크,Heating mantle,리비히 냉각기, 온도계, 비등석, 비중병등이다.

20wt%, 40wt 수용액을 만들기 위해 실험실의 온도는 20℃로 가정하였다. 온도에 따른 물과 에탄올의 밀도표를 참고해 찾은 20℃에서 물의 밀도는 0.99823g/ml이며, 에탄올의 밀도는 0.96864g/ml이다. 실험에서 사용해준 에탄올의 용액은 94.5wt%이고, 실험에서 사용할 수용액은 300ml제조해주었다. 따라서 20wt%, 40wt 수용액에 필요한 에탄올과 증류수의 양은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