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조작이론및실험2_삼각도를이용한상평형도_결과

목차

1. Abstract

2. Experiment
(1) Acetone-증류수 계에 있어서의 상호 용해도의 측정
(2) Acetone-Toluene 계에 있어서의 상호 용해도의 측정

3. Result & Discussion

4. Conclusion

본문내용

1. Abstract
삼각도를 이용한 상평형도 실험은 3성분계의 상평형을 이해하고 삼각도를 활용해 상펴형도에 상경계도를 그리는 실험이다. 실험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되어 아세톤과 증류수 용액에 톨루엔을 적정하여 진행하는 실험과 아세톤-톨루엔 용액에 증류수를 적정하여 진행하는 실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실험을 통해 임의의 조성의 액체의 성분계를 삼각도상에 배열할 수 있으며, 1상 2상영역을 구분하는 상경계도를 찾을 수 있다. 실험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 피펫을 이용하여 매우 작은 부피로 적정을 진행해주었다.

2. Experiment
실험에서는 아세톤(Acetone, C _{3} H _{6} O),톨루엔(Toluene, C _{7} H _{8}),증류수(Distilled water H _{2} O) 3가지 시약이 필요하며 아래는 사용해 준 시약이다.

(1)Acetone-증류수 계에 있어서의 상호 용해도의 측정

먼저, Acetone-증류수 계에 있어서의 상호 용해도 측정을 위해 아세톤의 농다가 10%,25%,40%,60%인 수용액을 준비해 20g씩 conical tube에 담기 위해 용액의 부피로 환산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용액의 밀도를 고려하여 계산을 해주어야한다.
이때, 실험실의 온도는 25℃로 두고 온도에 따른 시약의 밀도는 Table1.에 명시해두었다.

<중 략>

실험 과정은 Acetone-증류수 계에 있어서의 상호 용해도의 측정과 동일하며, 단 혼합용액이 Acetone-Toluene이며 적정에 사용된 용액이 증류수이다.

두 실험에서 구해준 적정량을 이용하여 적정지점에서의 질량 조성을 구하고 삼각도상에 도시하고, 상경계도를 그려줄 수 있다.

3. Result & Discussion
Acetone-증류수 계에서 구한 적정량 값을 이용하여 전체 용액에서 각 용액이 차지하는 질량 분포와 질량 조성을 계산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