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만성신부전 타부서와 네트워크 및 간호사의 역할

목차

1. 만성 신부전 대상자 간호 중 간호사의 역할
1) 대상자의 문제 상황
2) 간호중재 시 고려할 점

2. 만성신부전 대상자 간호 중 타 부서와의 네트워크

본문내용

1) 대상자의 문제 상황

(1) 대상자 소개
이름 : 이**
나이 : 65세
성별 : F
체중 : 57kg
신장 : 158cm
V/S : 160/90-98-36.6-24-(94)

(2) 상태
– 2년 전, CRF 확진
– CRF 4단계 진행 중
ㆍ1단계 : 신장 기능 검사상 정상 혹은 소변검사상 이상이 관찰
ㆍ2단계 : 신장 기능이 정상의 69-89%로 약간의 기능 감소 관찰
ㆍ3단계 : 신장 기능이 정상의 30-59%로 감소
ㆍ4단계 :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29%로 감소
ㆍ5단계 :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 이하로 심하게 감소

2) 간호중재 시 고려할 점
(1) 식이요법 교육 : 저칼륨 식이, 저인산 식이, 저나트륨 식이

저칼륨 식이
콩나물, 배추, 무, 파, 양파, 당근, 깻잎, 풋고추, 단감, 연시, 사과, 자두 등

저칼륨 식이
콩나물, 배추, 무, 파, 양파, 당근, 깻잎, 풋고추, 단감, 연시, 사과, 자두 등

고인산 식이
유제품, 육류, 닭고기, 생선, 콩과 식물, 견과류, 씨앗 등

나트륨 제한
염분 섭취량 제한
5g/1일 이하
(나트륨 2000mg 이하)

(2) 투석
– 복막투석 : 투석액이 복강 내로 주입되며 확산과 삼투를 통해 혈액 내 노폐물, 독성물질, 수분이 혈액에서 투석액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투석
– 집에서 시행 가능
– 투석액이 혼탁하거나 깨끗하지 않을 시 즉시 병원 방문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