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1 중력가속도 측정(단진자) (결과) A+

목차

1. 실험값

2. 결과 분석

3. 오차 논의 및 검토
1) 공기 저항력
2) 측정값의 부정확성
3) 단진자를 이용하지 않음

4. 결론

본문내용

➀ 공기 저항력
이 실험에서는 진자가 단조화 운동을 해야 정확하게 측정이 되는데 중력가속도 외에 공기저항력이 작용하면서 진자가 감쇠 운동을 하였다고 추정한다. 공기저항력으로 인해 주기가 더 길게 측정이 되면서 중력가속도가 작게 도출되었다.
오차율이 크게 측정되었을 때 재측정을 진행하면서 진자의 진폭을 크게 하여 주기를 측정하면 주기가 더 길어지는 현상을 관찰했다. 이는 진자의 등시성이 적용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공기저항력 등의 외부적 요인이 진자의 운동에 영향을 끼침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진자를 최대한 작은 진폭으로 진동시키면 공기저항력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두번째 실험부터는 이를 신경써서 최대한 작은 진폭으로 진동시키려고 하였지만 첫 번째 실험은 이를 고려하지 않아 오차율이 2.6%로 상대적으로 크게 도출되었다고 추정한다.
이를 고려하여 첫번째 실험에서 측정한 주기에 보정값을 넣어보면 오차를 줄일 수 있다.

➁ 측정값의 부정확성
실의 길이나 구형 추의 반지름 등을 육안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였다. 특히 구형 추의 중심을 정확히 기준 삼기 어려웠다. 구형 추를 돌려가며 지름을 측정하였는데 이 때 특히 눈금이 매번 다르게 읽혀 측정이 어려웠다.
또한 처음에 진자를 손으로 진동시킬 때 정확히 1자로 움직이게 할 수 없어 초반엔 진자가 흔들린 것이 주기 측정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그래서 초반 몇 회의 측정값들은 기록하지 않는 것이 더 정확하지만 이를 염두하지 않고 실험을 진행해서 오차가 생겼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