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부분을 재구성해 수업계획을 수립하되, 학생에게 배부할 부교재 형태로 개발합니다. 또한 개발 자료의 듣기 전 활동의 의도와 수업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해봅시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세종 한국어 3권 11단원 날씨 – 듣고 말하기
2. 듣기 전 활동
(1) 학습 목표
(2)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
– 듣기 전 준비 활동 (가)
– 듣기 전 준비 활동 (나)
(3) 정보 강화 활동
– 듣기 전 준비 활동 (다)
– 듣기 전 준비 활동 (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듣기 수업은 듣기 전 활동, 듣기 중 활동, 듣기 후 활동으로 보통 진행된다. 듣기 기능은 다른 언어 기능의 기초가 되는 기능이기에 한국어 지도는 듣기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듣기 전 활동을 통해서는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듣기 중 활동에서는 과제를 수행하고, 듣기 후에는 들은 내용을 확장하여 말하기, 읽기, 쓰기와 같은 다른 활동으로 연계 지도가 필요하다. 이에 본 리포트에서는 세종 한국어 3권의 11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활동을 재구성하여, ‘듣고 말하기’의 ‘듣기 전 활동’을 개발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세종 한국어 3권 11단원 날씨 – 듣고 말하기
세종 한국어 3권 11단원은 날씨에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있다. 이 중 ‘듣고 말하기’는 5개 문항으로, 3개의 듣기 활동과 2개의 말하기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듣기 1번은 간단한 회화를 듣고 올바른 그림을 고르는 유형, 2번은 들은 내용 O, X하기 유형, 3번은 들은 내용을 쓰는 유형에 해당한다. 1~3번 ‘듣고 말하기’를 ‘듣기 중 활동’으로 간주하여 문항별 ‘듣기 전 활동’의 학습 목표와 수업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