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과 위험요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관리
7. 간호중재
8. 합병증
9. 예후
10. 문헌고찰
본문내용
① 문맥성 고혈압(Portal hypertension)
문맥성 고혈압은 문맥 혈관계가 폐쇄되어 발생한다. 문맥으로의 혈행이 차단되면 맥관 압력이 증가해 비장내 정맥울혈과 비장비대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간의 혈관에서 알부민과 액체가 복강 내로 새어나오게 되고 측부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을 형성하게 된다. 문맥계로 혈류를 보내는 비장과 그 밖의 다른 기관에도 울혈이 생기며, 임상증상으로 배꼽 부위에 상복부 혈관이 꼬불꼬불하게 돌출, 치정맥(hemorrhoidal vein) 확장, 상복부의 잡음(bruits), 식도정맥류, 복수 등이 나타난다.
② 복수(Ascites)
복수는 복강 내 비정상적인 수분저류를 말하며, 이는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서 문맥성 고혈압에서 비롯된다. 복수의 또 다른 원인은 간의 알부민 합성 감소, 알도스테론 수치 증가, 간 림프류의 차단 등이다. 복수는 말초부종을 동반하거나 말초부종 없이도 일어날 수 있다. 복수의 내과적 중재방법은 침상안정, 염분제한 식이, 이뇨제 투여이다. 복수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는 간경화증 환자의 간호를 참고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