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정신치료 및 간호중재

목차

I. 노인정신치료
1. 정신분석치료
2. 인지행동치료
3. 대인관계치료
4. 동물매개치료
5. 음악치료
6. 가족치료
7. 인지기반치료프로그램

II. 치매환자의 가족교육
1. 질병의 특성
2. 치매가족 교육내용
3. 치매환자 간호요령

본문내용

최근 노인의 평균수면이 증가함에 따라 노인 정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생물학적 치료 외에도 정신사회적 치료에 대한 접근이 증가하고 있다. 생물학적 치료와 연계되어 치료효과를 상승시키기도 하며 노인의 삶의 경험을 공유하여 창조적인 작업을 해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노인환자의 가족을 치료적 자원으로써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해준다.
노인을 위한 정신사회적 치료기법은 매우 다양하며 개인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대인관계치료, 가족치료, 집단치료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치료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우선 그 적응증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가족치료는 노인의 우울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가족요인을 밝혀내고 개선시킬 수 있으며 역동정신치료적 접근을 통해 치료자는 노인환자의 전이와 치료자의 역전이를 인식하여 치료과정을 진전시킬 수 있다.

노인의 정신사회적 치료의 적응증 예
환자가 정신사회적 치료를 선호하는 경우(예, 불안장애의 치료)
약물치료의 효과를 촉진시키고자 하는 경우(예, 기분장애의 치료)
약물치료의 잠재적인 부작용을 피하고자 하는 경우(예, 치매의 행동증상의 치료)
보호자 혹은 간병인의 심리적 고통을 분담하고자 하는 경우
노화와 관련된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고자 하는 경우
노인환자의 정신역동을 이해하고자 하는 경우

노인은 감각기능과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가 우선 이루어져야 한다. 감각기능의 이상이 있더라도 기술적인 방법으로 치료법을 선택하고 적용가능하다. 청각기능의 손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시각적인 자료를 준비하여 치료를 적응하도록 해야한다.
정신사회적 치료에 대한 치료자의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의 태도도 중요하다. 우울증을 가진 노인중 일부는 심리치료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하지만 전문적인 상담을 받는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다.

■정신분석치료(Psychotherapy)
젊은 성인에 비해 훨씬 다양한 정서를 체험했고 폭넓은 인생경험을 통해 고유한 감정을 가지고 살아왔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