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요점정리

목차

없음

본문내용

<생리학>

1. 생리학의 개요
1) 생리학: 생물체의 생명현상 탐구
2) 주요 개념: 원인과 결과, 조화와 균형
3) 병태 생리학: 질병이나 상해 시의 생리적 변화 규명
4) 영양 병리학: 신체 내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영양적인 접근, 전반적인 생리기전, 병태 생리학적 기전, 영양학적인 개념들을 모두 포괄

2. 인체의 구성 체계
1) 인체: 다세포, 다조직, 다기관, 다기관계

2) 세포(cells)
(1) 200여종의 세포
(2) 4개 주요 세포: 상피세포, 결합조직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3) 조직 (tissues)
(1) 4개 주요 조직: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

4) 기관 (organs)

5) 기관계 (organ systems)
(1) 순환계: 심장, 혈관, 혈액, 림프관 – 물질수송
(2) 호흡기계 – 산소 이산화탄소 교환, 수소이온 농도 조절
(3) 소화기계 – 물질의 소화, 흡수, 물질대사
(4) 비뇨기계 – 혈장 조성 조절, 요의 생성과 배설 조절
(5) 근골격계: 뼈, 연골, 골격근 – 지지와 운동
(6) 면역계: 백혈구, 림프절, 비장, 흉선 – 외부 침입에 대한 방어
(7) 신경계: 뇌, 척수, 말초신경과 신경절 – 체내 여러 활동 및 신체기능 조절
(8) 내분비계: 호르몬 분비하는 모든 선 및 기관 – 체내 여러 활동 및 신체기능 조절
(9) 생식기계
(10) 피부계 –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내부를 격리하고 보호

6) 인체 구성 체계의 기능적 통합
(1) 세포자체의 생존을 위한 기본 활동: 물질교환, 에너지 획득, 단백질 합성, 분열, 성장 등
(2) 유기체 생존을 위한 특별 활동
① 소화기계 구성 세포: 영양물질 흡수 등
② 호흡기계 구성 세포: 기체 교환 등
③ 생식기계 구성 세포: 정자 또는 난자 생산 등
④ 신경계와 내분비계에 의해 통합 조절
(3) 조직, 기관, 기관계의 협조 체계 특성: 특이성, 분담성, 협동성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