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없음
본문내용
벨기에 독립
– 1830년 파리 7월 혁명 발발
→ 벨기에 독립운동으로 발전
→ 벨기에의 독립은 빈 회의 체제의 수정 의미. 5대 강국의 공동관심사
→ 유럽의 정치판도를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3국의 동유럽(개입) / 영국, 프랑스 2국의 서유럽(불간섭)으로 구분
– 러시아가 벨기에 간섭에 폴란드 군대 동원하려는 것이 도화선이 돼 폴란드 군대에서 반란
→ 러시아는 폴란드 점령.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도 자국에 편입된 폴란드 지역 동요 방지에 주력 → 1831 벨기에에 관한 5개국 의정서로 벨기에 독립.
– 의의
→ 벨기에 독립은 빈 체제에 대한 수정이었음 BUT 분쟁이나 전쟁 거치지 않고 열강들의 합 의로 이룩했다는 점에서 유럽협조체제의 한 성과
왜냐하면 폴란드 문제로 동유럽 3국이 간섭할 여유 없었고, 영국과 프랑스도 폴란드와 이탈 리아 문제(7월 혁명의 영향으로 1831.2 모데나와 파르마의 반란을 시작으로 일어난 이탈리아 각지의 혁명으로 야기된 문제)에 신중히 대처하고 자제함으로써 동유럽 3국과 마찰 회피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