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이론_이론정리_비판적국제관계이론

목차

Ⅰ. 비판적 국제관계이론
Ⅱ. 비판적 국제관계이론의 갈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비판적 국제관계이론
1. 개관
비판적 국제관계이론은 지금 여기에 ‘있는 것’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있어야 할 것’과 ‘없어져야 할 것’을 제시하고자 함
비판적 국제관계이론가들에게 ‘국제적인 것’을 이론화하는 작업은 세계를 변혁하기 위한 의식적 ‘실천’과 동의어
주류 국제관계이론은 ‘실천’ 그 자체를 고려하지 않거나, 또는 현상을 정당화하는 실천으로 스스로를 자리매김
비판적 국제관계이론은 급진적 또는 근본적 시각이 현존하는 조건에서 ‘가능한 것’을 찾으려는 실천적 의미를 가짐. 국제관계의 유토피아적 지향이 현실과 마찰하면서 ‘가능한 것’으로 바뀔 수 있는 조건과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이론의 주요한 과제
2. 비판적 국제관계이론의 기본 전제
①세계적 차원의 정치경제적 불평등의 원인을 규명, 해결책을 이론적, 운동적 차원에서 모색
②기본적으로 각 이론들의 뿌리는 맑스이나 대안과 대안에 이르는 과정에서 차이
③맑스의 비판-계몽-해방(근대사회에 대한 문제설정)을 공유
④비판적 국제관계이론은 국제적인 것을 정의, 자본주의적, 영토주의적 논리의 조합을 제시
3. 맑스주의의 적실성 계속
맑스주의 부흥의 배경
①냉전 종식에 따른 국가이데올로기로서의 맑스주의 몰락
②지속되는 국제사회에 대한 분석력
현실주의나 자유주의와 비교할 때 보다 심층적이고 숨어 있는 진실을 파헤치고자 함.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의 작동 과정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고 주장
-정치적 동기 < 경제적 동기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