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정치_연구레포트_통계분석_아프리카 신생민주주의 정당체제 비교 연구

목차

I. 연구의 배경 : 문제제기
II. 연구의 목적
III. 연구의 대상과 범주
IV. 개념의 정립과 선행연구
V. 연구의 분석
Ⅵ. 연구의 결론 및 한계점

본문내용

I. 연구의 배경 : 문제제기

-아프리카와 민주주의? 체계화된 정당이 존재하는가?
-군사독재정권이 끝나고 민주주의의 길로 나가기 시작한 국가들이 혼란에 휩싸여 후퇴한 경우 다수
아프리카도 예외는 아니며, 이로 인해 전문가들 사이에는 ‘Afro-pessimism(아프리카 비관주의)’ 팽배
-일부는 민주주의에도 ‘아프리카적 특수성’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며 서구식 민주주의 이론과 전제들이 적용될 수 없다 평가
-Giovanni Sartori(지오반니 사르토리, 정당 시스템 분석)은 아프리카의 정당체제를 ‘형태가 없다’고 묘사

II. 연구의 목적

-1990년대 아프리카를 휩쓴 복수정당제의 부활에 초점
-서구식 민주주의의 선행연구가 적용되는 동남아시아, 라틴아메리카의 비교연구를 밑거름으로 아프리카가 과연
선행연구들에 따른 이론의 적용이 불가능한 ‘특수한’체제인지, ‘보편화’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함
-기존 아프리카 정치에 관한 연구들은 몇 개의 예외를 제외 대부분 단일 사례 연구에 치중
– 연구의 목표 : 아프리카 신생민주주의 정당체제들의 파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III. 연구의 대상과 범주

– 연구의 대상 : 아프리카 53개국 중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권위주의 -> 민주주의 이행 신생민주주의 국가 정당체제
<민주주의국가 선정 조건 / Cheibub et al. 2010.) 1) 행정부 수반이 유권자로부터 직접 선출되거나 선출된 의회로부터 선임 2) 복수의 정당들이 참여하는 입법부가 선출 3) 야당이 허용되며 야당이 집권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가능성이 있는 정치체제 <세네갈, 코트디부아르, 가나, 나이지리아, 알제리, 잠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냐 탄자니아 / 9개국>
– 연구의 범주 : 선정된 아프리카 신생민주주의 9개국의 민주화선거 이후 모든 선거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