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개념정리
2. 비교정치론 강의 3 – Ch. 6 요약
3. 달튼 논문 요약
4. 동결이론과 반동결이론의 장단점과 한계
5. 토론거리
본문내용
<1. 개념정리>
Ⅰ. 정당
동일한 정치적 가치와 주장을 갖는 사람들이 공공의 이익을 촉진하기 위해 선거나 다른 수단을 통해 권력을 획득하려는 정치집단이다.
*권력획득을 목적으로 대중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유권자를 조직적으로 동원하는 집단인 정당은 시민사회 내에서 이익을 추구하는 다양한 집단과 차별성을 갖는다. 즉, 정당은 정책과 공약 등을 통해 공적 이익의 추구와 이를 실현하기 위해 권력획득을 목표로 하는 정치집단이다. 그리고 정당은 이데올로기적 경직성과 정책의 유연성 및 포괄성을 갖는 정치집단이다(이정희 1998, 361).
Ⅱ. 정당체계(party system)
정당체계는 복수의 정당들 사이의 권력획득을 목적으로 한 경쟁적 상호작용의 체계로서 정당과 정당, 정당과 다른 정치제도 그리고 정당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물
Ⅲ. 사회적 균열(social cleavages)
1. 균열이란
일반적으로 사회구성원 간의 이해관계의 상충으로 인한 갈등이 집단의 정체성과 결합되어 조직적으로 표출되는 현상을 지칭
2. 사회적 균열과 정당(체계)
정당체계는 사회적 균열구조를 따라 유권자들의 지지를 동원함으로써 정치구조를 형성한다. 즉 균열은 유권자들의 정치적 판단, 정당 간 경쟁, 그리고 그 결과로써 정당체계를 연결하는 주요한 배경 구실을 한다.
3. 립셋과 로칸의 네 가지 사회적 균열
정당체제의 형성 연구의 사회학적 접근법은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균열을 정당(체제)의 형성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는 변수로 본다. 립셋과 로칸은 유럽의 정당체제형성을 분석하면서 민족국가건설과 산업혁명이라는 두 역사적 사건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4가지 균열구조가 4가지의 관문(정당화, 통합, 대표성, 다수결)을 통해 근대적 정당체계가 형성되고 유지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이 말하는 정당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4가지 사회균열은 ―①지배적 문화(중앙) 대 종속적 문화(주변), ➁교회 대 정부(국가), ➂1차산업(농촌, 토지) 대 2차산업(도시, 산업), ➃노동자 대 고용주 및 소유자(계급 간)― 이다. 앞의 두 사회균열은 민족국가형성 과정 속에서, 뒤의 두 사회균열은 산업혁명 과정 속에서 등장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