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PE(자간전증), Em CS(A+, 질병기술, 건강력, 약물, 검사, 긴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포함)

목차

Ⅰ. 대상자 자료수집
Ⅱ. 간호과정

본문내용

임상적 의의
CBC
● POD #1의 RBC, Hb, Hct 감소는 분만 과정에서의 실혈(400cc)에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 C/Sec 직전의 Neutrophil의 수치가 증가하였으나 이는 임신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수치가 경미하여 중재는 하지 않았다.
● OP 후 WBC, Neutrophil, ANC 수치의 증가는 수술 및 분만의 회복반응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lymphocyte 비율의 감소는 Neutrophil의 비율 증가와 수술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BLOOD CHEMISTRY
● Cholesterol 수치의 증가는 스테로이드제(betamethasone)의 투여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ALP(간효소) 수치의 지속적 증가는 HELLP 증후군의 증상 중 하나로, PE로 인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의 경우 고혈압, 단백뇨를 포함하여 두통, 체중증가와 같은 증상을 동반하였다.

Routine urinalysis
● PE의 증상으로 proteinuria가 나타났다. 또한 그 수치가 지속적으로 2+이 나와, Severe PE임을 확인할 수 있다.

sFlt-1/PlGF ratio (전자간증위험도 측정 검사)
● 전자간증이 의심되는 산모에서 전자간증을 진단 및 예측하기 위한 검사이다.
● 전자간증이 의심되며, 그 원인으로 태반의 기능이상이 의심된다.
● 태반으로부터 나오는 혈관억제 인자인 sFlt-1과 혈관생성인자인 PlGF ratio가 전자간증 산모에서 정상 산모보다 높게 나타난다.

Genitourinary C&S
● candida albicans에 감염된 것으로, 대상자가 가려움증 등의 추가 증상 호소하여 Dermofix(sertaconazole)를 투여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