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ending colon cancer_(A+,질병기술, 건강력, 약물, 검사, 간호진단 5게, 간호과정 2개 포함)

목차

1.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2. 건강 사정 도구(NANDA)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병 기술 – Ascending colon cancer
(1) 원인
확실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위험인자를 제시할 수 있다.

결장직장암 위험요인
● 50세 이상
● 가족력
가족성 선종성 용종(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결장직장에 발생하는 용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40세까지 거의 100% 암으로 발전함.
● 궤양성 대장염의 과거력
● 진단 8~12년 후 위험 증가
● 대장 용종 또는 선암
● 흡연
● 서구화된 식습관 (저섬유, 고지방 식이)
저섬유소 식이: 소량의 변을 형성해 장을 통과하는 시간이 지연돼 대사, 장내세균의 최종 산물인 발암 물질과 장 점막의 접촉 시간이 증가함
고칼로리 지방 식이, 육류의 과도한 섭취
● 비만

(2) 병태생리
결장암은 대부분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해 악성이 됨에 따라 장 안에서 그 크기가 증가하고 장벽애 침윤하여 순환계나 림프계로 퍼지기 시작한다. 용종이 악성이되기까지 약 5~12년 정도 소요된다. 결장직장종양의 정맥혈류가 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에 주로 간으로 침범한다. 악성 종양의 침범은 위장에서부터 횡행결장까지 인접해있는 기관에는 직접 침범함으로써, 간으로는 혈액, 림프를 통해서, 복강으로는 암세포가 직접 퍼지거나 이식돼 이루어진다. 방광이나 요관, 생식기관 또한 직접 침범되고, 방광과 장 사이 혹은 장과 질 사이에도 누공이 생기며 혈액을 통하여 폐, 콩팥 및 뼈까지 전이되기도 한다.
Dukes 분류, TNM 분류를 사용해 단계를 결정하는데, 이는 종양의 침윤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3) 임상증상
● 종종 무증상이고 우연히 진단됨
● 대변에 잠혈 또는 직장 출혈
● 부분적 장폐색 증상
● 배변 습관의 변화(변비 또는 설사)
● 연필같이 가늘거나 리본같이 부분적으로 굵고 가는 대변
● 배변 후에도 장이 비워지지 않은 느낌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