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방법론_논문 분석 레포트

목차

1. 연구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연구 논의

본문내용

1. 연구 개관
▷ <서편제> – 주인공 송화의 양아버지인 동호가 가난한 형편으로 집을 나가자,
소리꾼 유봉이 송화가 소리를 그만둘지 모른다는 생각에
약물로 송화의 눈을 멀게한다 ……. ▷ 영화 <서편제>가 그토록 많은 관객들에게 관심을 불러일으킨 이유
– 한국인의 ‘限 한’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 ‘한’은 한국적 문화의 심적 표상을 표현하는 대표적 개념
▷ 문화적 언어 속에는 개념적 표상체계가 존재한다. – 개념적 표상체계는 ‘개인간의 개념 공유성’과 ‘처리 자동성’을 내포한다. ▷ 문화인지적 체계를 밝히는 작업은 문화적 언어의 표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2. 연구 목적
▷ 첫째, 한 개념의 표상구조를 문화적 개인의 언어적 표현 양식을 통해서 밝히고자 한다. ▷ 둘째, 한 개념 처리의 자동성을 한 에피소드를 이해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인지과정을 통해서 밝히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1. 참가자
▷ 고려대 & 중앙대 대학생 232명 – 연구 1 : 196명
– 연구 2 : 36명
1) 최상진, 이재호, (2000). 한 경험의 인지적 구성 양식 – 영화 ‘서편제’에 내포된 문화인지적 담화 구성.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0(1), 182-183
2. 실험재료
▷ 연구 1 : ‘한’과 관련된 10개의 질문 – ‘한’ 관련 질문의 자유생성과제를 사용한 실험
– 질문 내용 : 한 경험여부, 정의, 원인, 마음상태, 행동양식, 연상단어 등
▷ 연구 2 : 영화 <서편제> – ‘한’ 에피소드에 의한 ‘한’ 개념의 온라인 활성화 과정을 탐색하는 실험) – <서편제>를 이야기 도식에 근거하여 이야기 전개 구조를 구성한 뒤, 참가자의 표상 파악
– 질문 내용 : 서편제의 기억내용, 주인공 행위의 원인과 이유, 서편제를 보면서 생성된 마음상태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