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와 프로메테우스

목차

1. 간 – 윤동주

2. 시에 대한 해석

3. 전체적인 감상
– 신화와 윤동주의 시 '간'의 차이점
– 해석가 이상섭의 '간' 해석
4. 프로메테우스 신화

5. 구토지설 신화

6. 윤동주

본문내용

1. 간 – 윤동주

간(肝) ― 윤동주

바닷가 햇빛 바른 바위 위에
습한 간(肝)을 펴서 말리우자.

코카서스 산중에서 도망해 온 토끼처럼
들러리를 빙빙 돌며 간(肝)을 지키자.

내가 오래 기르는 여윈 독수리야!
와서 뜯어 먹어라, 시름없이

너는 살찌고
나는 여위어야지, 그러나

거북이야!
다시는 용궁의 유혹에 안 떨어진다.

프로메테우스 불쌍한 프로메테우스
불 도적한 죄로 목에 맷돌을 달고
끝없이 침전하는 프로메테우스.

2. 간 해석
1,2연 : 소중한 생명과 양심인 간을 지키겠다는 다짐 – 양심의 회복
– 1연 : 토끼는 현실에 대해 회의하고, 현실 아닌 다른 세계를 절실히 갈망한다. 그 계기를 마련해 준 것이 자라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