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심리적 건강
2. 베스트 사례
3. 워스트 사례
4. 영향 및 시사점
본문내용
심리적 건강의 개념
1. 배경 : 부정적인 사건에 대한 대처와 치료 뿐만 아니라 인생을 살 가치가 있게 만드는 것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됨 (긍정심리학) 이에 따라 심리적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2. 구성요소 : 심리적 건강에 대한 정의는 한가지에 국한되지 않으며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심리적 건강의 개념을 구성함
1) 정서적 행복감
2) 역량 : 대인관계, 고용상태, 적응력 등 다양한 활동에서 개인이 어느정도 성공했는지 또는 어느정도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지
3) 자율 : 자신의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자유
4) 포부 :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보다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하고자 항상 노력함
5) 통합된 기능 :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균형감 있고, 내부적인 모순을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반되는 요소를 조화시키는 방법을 알고있음
베스트 사례
<기업들이 임직원 정신 건강을 챙기는 이유>
코로나19 장기화로 우울증과 무력감을 호소하는 직원들이 늘고 있기 때문
기업들의 복지 프로그램 확대는 ESG 경영 기조에 발맞춘 기업 문화 개선의 일환
사내 상담 프로그램은 회사에도 도움, 직원들의 이탈을 줄여 채용 비용을 아끼고 생산성 유지 가능
근로복지공단에 따르면 2020년 접수된 정신 건강 관련 산재 신청은 총 517건, 2016년 183건에 비해 182% 증가
보건복지부가 2021년 5월 발표한 ‘코로나19 국민건강 실태조사’에서 코로나 이후 우울 평균점수 는 5.7점 2018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인 2.3점에 비해 2배 이상 증가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