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손상환자 간호

목차

외상성 복부 손상 환자
1. 복부의 3영역: 흉부복부, 실제복부, 후복부
2. 복부 둔상: 원인, 증상, 진단(방법, 손상종류), 수술(동맥색전술, 개복술)
3. 복부 관통상

본문내용

(1)동맥색전술
파열로 인해 출혈 시 시행하는 방법, 넙다리 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동맥을 찾아 혈액공급을 차단하는 시술
검사전) Lab 확인, CT, Skin prep, DPP측정, MNNPO, 약물복용여부, 18G line, 동의서확인, Sandbag 준비
시술 후) ABR, 혈류확인, 수액공급, 통증, 메스꺼움, 발열 등 색전술 후 증후군 관찰(미열은 시술 후 일주일정도), 출혈관찰

(2) 복부둔상에 의한 개복술
– 외상 초음파상 양성이고 복강내 출혈이 있으며 저혈압이 동반되는 경우 시행함. 주로 복막염, 복막자극 증상, 다량의 위장관출혈, 횡격막 파열, 심각한 내부장기실질 손상

④간호
– 병력: 자동차의 속도, 충돌의 종류, 충돌부위, 안전벨트여부
– 정맥투여: 교질액, 생리식염수, 링거액 full drop, 18G line 확보
– NPO, 산소공급, 앙와위 유지, 비위관, 유치도뇨관삽입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