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장침습성 장염
2. 병원성대장균
3. 리케치아 감염 질환
4. 파상풍(Tetanus, Lockjaw)
5. 가스괴저(gas gangrene)
본문내용
1) 정의
– 장침습성대장균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 오염된 음식, 물 섭취 통해 감염 1~3일의 잠복기 후 발열, 복통, 구토, 수양성 설사 증상- 약 10%에서는 혈성 설사도 나타남
– 위장관염 증상은 보통 7일 이내 소실
– 진단 감염된 환자의 대변에서 장침습성대장균 검출을 통하여 확진
2) 원인균
– Gram 음성의 간균이며 주모성 편모가 있어서 운동성이 있으나, 편모가 없고 비운동성인 것도 있음
– Lactose, Fructose를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성하는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균
– 발육 가능한 온도는 7~48℃, 최적온도는 35~37℃, 발육 가능한 pH 범위는 4.5~9.0
-이질균과 같은 병원성을 가진 대장균으로 감염되었을 경우 대장의 점막상피세포 내로 침 입하여 증식하고 점막을 괴사시켜 궤양을 형성하는 대장균으로 세균성이질과 같은 침습성 인자 (inv)로 진단
– 장침습성 대장균의 원인이 되는 종류는 혈청형 O28, O112, O124, O136, O143, O144, O152, O164, O167 등이다.
3) 전파 경로
-햄, 치즈, 소시지, 크로켓, 채소 샐러드, 구운 소고기, 분유, 도시락, 두부, 소간 등
– 유아에서는 오염된 우유의 섭취가 원인이 될 수도 있음
– 그리고 물을 통한 집단 식중독의 발생도 가능
4) 침습성 장염의 특징
– 대부분 소아에서 발생, 하지만 전 연령에서 발생 가능
– 여름에 주로 발생
– 동성연애자, 에이즈환자는 감염가능성 높다
– 배낭 여행시 설사의 원인
5) 증상
– 유아에게는 증상이 심하나 성인의 경우에는 급성장염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 이질과 비슷한 증상을 일으킴. 장관침입성대장균(EIEC)는 장상피 세포에 침입하고, 점막 과 점막하 조직에서 증식하는 능력이 있음
– O항원은 이질균과 항원교차성을 나타낸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