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을 기획함에 있어 프로그램이 왜 필요한지를 논하고 기획과정에 대해서 논하여보자

목차

1. 좋은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획의 속성

2. 프로그램의 기획과정의 분류
1) 전체 과정으로서의 프로그램 기획
2) 부분 과정으로서의 프로그램 기획

3. 문제의 분석

4. 대상자 선정
1) 일반집단
2) 위험(위기)집단
3) 표적집단
4) 클라이언트 집단

5. 목표설정

6.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목표의 위치
1) 문제파악 및 확인단계
2) 프로그램 설계단계
3) 프로그램 실행단계
4) 프로그램 평가단계

7. 바람직한 목표가 갖추어야 할 조건

8. 목표설정의 위계화와 목표체계도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좋은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획의 속성
1/ 프로그램 기획은 미래지향적이다(미래지향적).
2/ 프로그램 기획은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이다(과정지향적).
3/ 프로그램 기획은 결정과정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결정지향적).
4/ 프로그램 개발은 목표지향적이다(목표지향적).
5/ 프로그램 개발은 목표와 수단을 연결하는 작업(인과적 타당성, 수단지향적, 실현가능성).

2) 프로그램의 기획과정의 분류
프로그램은 과정 지향적이다.
(1) 전체 과정으로서의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세부단계(준비단계, 프로그램 수립단계, 프로그램 실천 및 실행단계, 평가단계) 간의 연계성에 대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2) 부분 과정으로서의 프로그램 기획
세부단계 내부에서도 세부단계에 요구되는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세부과정 또한 수행되어야 하며, 이 과정 역시 순간적인 판단이나 기지가 아니라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3) 문제의 분석
문제해결자로서의 프로그램 기획자는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문제에 개입할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문제가 있음을 알아챌 수 있는 민감성을 갖추어야 하고, 그러한 문제가 해결돼야만 한다는 정의감과 의지가 있어야 한다.
둘째, 문제를 세심히 분석하여 문제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이 바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뛰어드는 충동성을 제어할 수 있는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
문제분석과 이해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1단계
현존하는 서비스나 자원의 공백이나 결함을 찾아낸다. 사회문제는 현재의 상황과 이상적인 상황 사이에 존재하는 공백 혹은 결함으로 파악될 수 있다.
프로그램 기획자의 목적은 ‘이래야 하는’ 상태로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러한 공백과 결함을 줄이는 것이다.
1/ 공백과 결함은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존재하고 그러한 시각은 시간에 따라 변한다.
2/ 공백과 결함을 제일 먼저 찾아내는 사람은 흔히 지역주민들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