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Ⅱ. 본론
1.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문제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3.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췌장은 명치끝과 배꼽 사이 상복부에 위치한 일종의 소화기관으로서 각종 소화 효소와 인슐린을 분비하여 장내 음식물을 분해하고,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췌장은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어 분비된 소화 효소는 십이지장으로 배출되고 위에서 내려온 음식물들과 섞인다.
췌장에 발생하는 종양은 인슐린 등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5~10%)과 소화 효소의 분비와 관련된 외분비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90%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내분비 세포 기원의 기능성 종양은 극히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외분비 세포 기원의 선암종을 췌장암이라 일컫는다.
2. 원인
췌장암은 50세 이상의 고령 남성에서 주로 발생한다. 70세 이상이 되면 1년 사이에 약 1,000명당 1명의 비율로 췌장암이 발생한다. 췌장암의 위험 인자로는 흡연(30%), 고열량 식이(20%), 만성 췌장염(4%), 유전적 요소(10%) 등이 있다. 나머지 췌장암의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다.
3. 증상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없기 때문에 조기 발견율이 10% 이하로 매우 낮다. 췌장암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복통이다. 황달, 식욕 감소, 체중 감소 등의 증상도 있다.
췌두부암 환자는 대부분 황달이 나타난다. 하지만 췌장의 체부와 미부에 발생하는 췌장암은 초기에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시간이 지나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 지방의 불완전한 소화로 인해 기름진 변의 양상을 보이는 지방변 또는 회색변, 식후 통증, 구토, 오심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당뇨병이 새로 발병하거나 기존의 당뇨병이 악화하기도 한다.
4. 진단
복부 전산화단층촬영(CT) 또는 자기공명영상술(MRI)에 의해 영상 진단을 얻음으로써 진단 과정이 시작된다. 주요 혈관의 침범 및 전이 여부에 따라 절제 가능 여부를 결정하여 전이 췌장암, 국소진행 췌장암, 경계성 절제 가능, 절제 가능 췌장암으로 구분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