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 정리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방법
5. 연구분석방법
6. 연구 윤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뇌졸중은 급성심근경색, 중증외상과 함께 3대 응급질환 중 하나로 이로 인해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 수는 2019년 기준 약 11만 명으로 2014년 약 9만 명에 비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통계청, 2019). 뇌졸중은 현대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사망률은 감소하는 반면,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통계청, 2020), 심각한 후유증을 남겨 장애율이 높은 질병이므로(보건복지부, 2017), 질환에 대해 심각성을 재고하는 것이 요구된다.
뇌졸중 발병 후 많은 환자들은 마비, 언어장애, 시야장애, 감각이상, 연하장애(임지혜 등 2011), 어지러움, 통증, 피로(Tseng & Kluding, 2009) 등의 신체적 장애뿐 아니라 우울, 불안, 분노, 절망과 같은 부정적 정서에 노출될수 있다(Livneh & cook, 2005; Riedel et al., 2012). 뇌졸중 환자들은 질환으로 인해 상당한 기능장애가 초래되고 이들 중 상당수는 발병 3년 내 기능적 독립성 회복이 어렵다(Patel et al., 2006). 뇌졸중 환자들은 기능적 독립성의 저하로 인해 간호에 더욱 의존하게 되며, 이들의 약 80%는 간호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Nursiswati, Halfen, & Lohrmann, 2017). 뿐만 아니라 뇌졸중으로 인한 장기적인 신체기능 제한은 환자와 가족에게 지속적인 돌봄과 의료비 부담을 초래하게 되므로(서민희, 최스미, 2010; Buijck et al., 2014), 뇌졸중을 개인적인 질병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