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 질환고찰(B 림프모구 림프종), 간호과정(감염의 위험), 교육안

목차

Ⅰ. 질환고찰
1. 병태생리
2. 원인 또는 유발요인
3. 주증상 및 주요 검사소견
4. 진단방법
5. 감별진단을 요하는 질환
6. 치료 및 간호
7. 합병증 및 예후

Ⅱ. 간호과정
1. 사정, 진단,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Ⅲ. 교육안

본문내용

1. 림프계
림프계의 기능으로 ①혈액으로부터 여과되어 나온 조직액을 다시 혈액으로 돌려보내는 기능, ②소장에서 흡수한 지방을 혈액으로 운반하는 기능, ③병원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면역학적인 방어의 기능이 있다. 림프절에서 만들어진 백혈구 등의 면역 세포는 림프계에서 순환하며 몸 전체를 보호한다.
림프계는 흉선(thymus), 비장(spleen), 림프절(lymph node), 파이어 판(peyer’s patch), 편도(tonsil), 충수(vermiform appendix), 적색골수(red bone marrow)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관들은 B-림프구와 T-림프구, 대식세포(macrophage),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와 같은 여러 면역 세포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B 림프구의 경우 골수에서 성숙하게 되고, T림프구의 경우 흉선에서 성숙하게 된다. B 림프구는 특정 병원체에 항체 생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T 림프구는 면역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항체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2. B lymphoblastic lymphoma
B lymphoblastic lymphoma (림프모구 림프종)이란 림프모구가 성숙하여 각 림프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암이 발생하며, 미성숙한 림프모구가 림프절과 가슴샘에서 과다증식하는 질환으로 공격적으로 매우 빠르게 전신으로 퍼지는 비호지킨 림프종의 일종이다.
(호지킨병: 림프계 내에 국한되어 발생하여 방사선 치료만으로 완치율이 높다. 특징적 소견을 가지는 호지킨병을 제외한 나머지 악성림프종은 비호지킨 림프종(말초림프절과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경우가 많음)으로 분류한다.)
이때의 림프모구는 조혈모세포에서 분화된 백혈구로서 B림프구와 T림프구 등을 생성하며 면역기능 역할을 수행한다. 즉 체내의 항체를 생성해주는 B림프구 혹은 외부의 병원체를 공격하여 몸을 방어해주는 체계를 지닌 T림프구를 제대로 생성해낼 수 없는 상태에서 과다 증식을 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