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 통증 간호과정 (모성간호학 실습)

목차

1.간호사정
2.간호진단
3.장/단기 목표
4.간호계획 : 진단적, 치료적, 계획적
5.이론적 근거
6.간호수행 : 진단적, 치료적, 계획적
7.평가

본문내용

S data
“마취 잘 된 거 맞나요? 잠깐 괜찮아졌다가 다시 계속 아파요.”
“(울먹이며) 선생님 원래 이렇게 아픈게 맞나요? 진짜 죽을 거 같아요.”
“무통 주사(EB) 한 번만 더 맞으면 안 될까요? 아니면 다른 진통제라도 놔주세요…”
“(얼굴을 찡그린 채 신음하며) 너무 힘들어요… 지금이라도 그냥 수술(제왕절개) 할게요.”

O data
32/F
Primi pregnancy 39+2 weeks (labor induction)
정기검진 위해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OBGY 외래 방문하여 시행한 USG 상 자궁 경부가 짧아 Induction 위해 DR adm

* 산과력 : G2 P0 A1 L0

* 과거력
– 2015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Dx.
– 30살에 첫 아이 임신했으나 12wks 계류유산(missed abortion) (2021.03 D&C) → 유산 후 모든 것이 다 자신 때문인 것 같아 죄책감과 우울감을 크게 느꼈다고 함

<중 략>

<간호진단 #1>
NRS 9점, 산모의 찡그리는 표정에서 나타나는 자궁수축과 관련된 분만 통증
(정의: 진통과 분만과정에 연관되어 나타나는 유쾌한 것에서부터 불쾌한 것까지의 다양한 감각과 감정적 경험)

<목표>
장기목표 : 분만 1시간 후 대상자는 NRS가 3점 이하로 감소한다.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신체적인 상해 없이 건강한 상태로 출산을 마친다.
② 대상자는 분만과정 중 분만 단계에 따른 적절한 호흡법을 실천한다.
③ 대상자는 분만과정 중 적절한 힘주기 요법을 실천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① 주기적으로 Vital sign을 측정한다.
– 분만 1기 : 30분 간격
– 분만 2기, 4기 : 15분 간격

② 분만 시기마다 NRS 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을 사정하고, 통증 완화요인과 악화요인을 사정한다.

③ 자궁저부를 촉진하여 자궁수축상태(빈도, 강도, 기간)를 측정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