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 산모 간호과정(감염의 위험)

목차

1.간호사정 (S data, O data)
2.간호진단
3.목표 (장/단기 목표)
4.간호계획
5.이론적 근거 (진단적 / 치료적 / 교육적)
6.참고문헌

본문내용

S data
“소변줄 꽂은 부위가 간지러워요.”
“선생님, 주사 부위가 부은 것 같은데 한번만 봐주세요.”
“몸이 오들오들 떨리고 추워요.”

O data
32/F
Multipara(경산모) 37+1 weeks (C/S)

* 현병력 : preterm labor(조기 진통), Oligohydramnios(양수과소증) 30주경 조기진통, 앙수과소증 진단 받아 입원 치료 받다 정밀검사(초음파) 위해 5월 30일 본원 전원함. 정밀검사(초음파)상 태아의 크기가 44cm으로 주수보다 작고, 태위가 둔위이며(역아), 양수지수(AFI) 4.3cm으로 양수량이 적어 5월 30일 14시경 응급으로 C/S(제왕절개술) 시행함.

* 산과력(GPAL) : Gravida(임신): 3 / Para(출산): 2 / Abortion(유산): 1 / Living(살아있는 아이): 2

* 과거력 : 2021년 03월 12wks 계류유산(missed abortion) → D&C(dilatation and curettage)

* POD 2일째로, Rt. arm IV(24G) 및 Foley catheter keep 중
– IV site : 부종 관찰됨 / 통증, 발적, 홍반, 압통, 삼출물 없음
– Foley catheter site : 통증, 부종, 발적, 홍반, 압통, 삼출물 없음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