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머리말
Ⅰ. 탑
1. 기원과 변천
2. 탑의 종류
Ⅱ. 석탑
1. 석탑의 구조
2. 한국 석탑의 변천 과정
Ⅲ. 승탑
1. 기원과 변천 과정
2. 승탑의 종류
Ⅳ. 석등
1. 석등의 정의
2. 석등의 구조
3. 변천 과정
맺음말
본문내용
불교에서는 사원을 건립하는 목적은 탑을 세우고 불상을 봉안하여 이를 예배하기 위함이다. 탑은 불교의 교주인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하였고, 불상은 직접 그를 향하여 예배를 올리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탑과 불상은 가장 뛰어난 불교미술로서 한국의 고대 미술을 대표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원래의 탑은 불교적 의미를 가지고 발생한 것이 아니다. 고대 인도의 문화 속에서 존재하던 것이 불교에서 수용하여 불탑이 세워지게 되었다. 그렇게 세워진 불탑은 재료에 따라서 그 종류를 나누어 볼 수 있다. 처음 발생한 인도와 중국에서는 그 환경적인 조건으로 전탑이 많이 세워졌으며, 그에 따라 중국을 전탑의 나라로 부른다. 또한 석탑이 많이 세워진 한국의 경우, 석탑의 나라로 알려져 있으며, 그와 같은 맥락으로 일본은 목탑의 나라로 불린다. 한국에서 석탑이 많이 건립된 것은 목탑과 달리 불에 강하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료였기 때문이었다. 한국 석탑은 처음 전래된 4세기 이후 시대에 따라서 그 양식이 변화하였다.
1장에서는 탑의 발생 기원을 알아보고 언제부터 불탑이 건설되었는지를 탐구한 후 그렇게 조성된 탑이 재료에 따라서 또는 형태에 따라서 어떻게 구분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 2장에서 한국 석탑의 구조와 시대에 따른 변천에 대해 중점으로 알아본다. 3장에서는 그에 못지 않게 많이 조성된 승탑이 기원과 한국에서 어떻게 조성되었는가에 대한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것들과 같이 가람으로서 사원에 배치된 석등의 의미와 구조,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