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동기전동기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본문내용

1. 실험목적
(1) 동기전동기 1
– 3 상 동기전동기의 구조
– 3 상 동기전동기의 시동특성
(2) 동기전동기 2
– 동기전동기의 가변 인덕턴스 또는 콘덴서로의 역할
– 동기전동기의 직류 전류 대 교류 전류 특성곡선
2. 관련이론
. 동기전동기 원리
동기전동기는 고정자 3 상 권선에 3 상 교류를 흘려주면 회전자가 회전한다.
회전자 측은 3 상 유도전동기와 같은 구조이다. 다만, 회전자는 직류 전원으로 여자된 자극이다
고정자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회전자계가 동기 속도에 도달했을 때 회전자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동토크를 가하면 회전자는 동기 속도로 운전한다고 한다. 유도전동기의 회전자계가 발생하는 원리와 같다.
그림 1. 동기 전동기의 회전 자기장동기전동기는 기동토크가 0 이다. 회전자계가 시계방향으로 동기 속도와 같이 회전해도 회전자에 주는 토크는 반회전 할 때마다 같은 크기로 반대 방향이 되기 때문에 평균 토크는 0 이 되기 때문에 회전자는 회전하지 못한다.

(1) 무부하인 경우
회전자가 정지하고 있을 때 고정자 권선에 발생한 회전 자기장이 시계방향의 동기속도로 매우 빠르게 회전하면, 정지해 있는 회전자엔 강한 관성이 작용한다.
그래서 시계방향의 토크와 반시계 방향의 토크가 작용하므로 회전자에 주어지는 평균 토크는 0 이 되어 회전하지 못하고 계속 정지하게 된다.
그런데 그림 2 의 두 번째 그림처럼 회전자를 미리 회전 자기장과 같은 방향으로 동기 속도로 회전시켜 놓으면 공극의 자속 분포가 균등하고, 회전 자기장의 N 극과 회전자의 S 극, 회전 자기장의 S 극과 회전자의 N 극이 흡인력으로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기전동기는 회전자가 회전 자기장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고 있을 때일정 방향의 토크가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