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의 훈련과 개발 방법

목차

직원의 훈련과 개발 방법

1) 직장훈련
(1) 강의실 훈련
(2) 프로그램화된 교육
(3) 비디오, 오디오 화상회의
(4) 하이테크 훈련
(5) 시뮬레이션
(6) 비즈니스 게임
(7) 사례연구
(8) 역할연기
(9) 행위모델링
(10) 가상현실시스템

2) 개발방법
(1) 직장 내 개발기법
1/ 직무순환
2/ 직위보조기법
3/ 위원회 임무할당법
(2) 직장외 개발기법
1/ 강의와 세미나법
2/ 모의훈련법
3/ 야외훈련
(3) 인적 자원관리의 직원 상담관리기법
(4) 성과 평가방법
1/ 훈련 후 성과평가방법
2/ 훈련 전후 성과평가방법
3/ 통제집단을 이용한 훈련 전후 성과평가방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훈련이란 개인의 직무수행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학습경험을 말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훈련에는 기술과 지식, 태도 또는 행동의 변화를 포함시킨다. 종업원의 훈련은 현재지향적인 학습을 통한 개발로서 매인의 현재 직무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한편, 종업원의 개발은 미래지향적인 것으로서 종업원의 개인적 성장과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종업원 훈련과 종업원 개발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 훈련계획을 수립할 것인지에 따라 차별화될 것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에서 행동이 형성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강화는 개인의 행동에 격려, 즉 개인행동에 대해 유쾌한 반응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봉급 인상, 승진, 잘한 일에 대한 칭찬이나 격려 등이 포함된다.
둘째, 부정적 강화는 불쾌한 보상과 관련되어 있다. 즉, 근무 중의 언쟁이나 강한 주장으로 인한 의견충돌, 바람직하지 못한 규제와 통제행위 등을 뜻한다. 이러한 행동이 중단 또는 시정되면 부정적 강화도 중단된다.
셋째, 징벌 또는 징계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대해 종업원에게 벌을 주는 것을 뜻한다. 약물복용자를 해고하거나 조직에 경제적 손실을 의도적으로 내는 행동에 대한 해고처분 등이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넷째, 소멸 또는 소거는 긍정적, 부정적 강화나 징벌도 주지 않고 스스로 결정하는 기회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의무와 권리를 조직에서 수용하지 않고 종업원을 방치하는 상태에서 자발적 수정이나 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