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ata collection
1. 간호력
2. 임상검사 자료
3. 약물 요법
(2) Nursing Progress
(3) 사례 관련 문헌 고찰
본문내용
흡인성 폐렴 Aspiration Pneumonia
정의
– 구강 분비물이나 위에 있는 내용물 등의 이물질이 기도로 흡인되면서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
– 치매, 두부 손상, 경련, 알코올 중독 등의 의식 저하가 있는 상황에서 흡인이 일어날 위험이 높음
– 삼킴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발생할 빈도가 높음
진단 방법
– 청진 시 수포음(crackles)이 들릴 수 있음
– 발열, 기침, 가래 같은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며, 흉부 X-ray 검사에서 하얀 음영(경화)이 보이면 진단 가능
– 염증이 폐하엽이나 상엽의 후분절 같은 의존성 부위에 나타남
– 혈액검사를 통해 전신 염증성 수치의 증가를 확인
–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T)를 통해 진단
치료 방법
– 폐렴 치료와 같음
–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고 객담 배양 검사 등을 통해 원인균이 확인되면, 항생제를 조정함
–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 기도 삽관이 필요할 수 있음
간호진단
– 비효과적 기도 청결
– 가스교환장애
간호중재
– 비효과적 기도 청결
· 호흡수와 호흡의 깊이, 흉곽운동을 사정하고, 청색증과 빈호흡과 같은 호흡부전의 징후를 모니터 함
· 신체 상부를 올리고 체위 변경을 자주 수행함
· 심호흡 운동을 하도록 지지함
· 금기가 아니라면 따뜻한 물을 1일 2,500cc 이상 섭취하도록 함
· 기관지 확장제, 가래약, 기침약, 진통제와 같은 약물을 투여함
· 정맥 수액요법과 산소요법을 수행함
– 가스교환장애
· 침상 안정을 함
· 반좌위를 취하고 체위변경과 심호흡 및 기침을 격려함
· 적절한 산소요법을 수행함
· 피부, 점막, 손톱과 입술 주위의 청색증을 확인함
· 체온을 측정하고 체온 저하를 위한 안위요법과 미온수 마사지 또는 목욕을 수행하고 적절한 실내 온도를 유지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