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로렌츠 곡선
2. 지니계수
3. 로렌츠 곡선과 미적분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4. 사회 정의와 불평등을 미적분적 관점에서 바라보기(탐구)
1) 소득_지니계수 계산과정
2) 보건 항목 소비_보건항목 지니계수 계산과정
3) 소득과 보건 항목의 소비 비율
5. 보건항목 지니계수 및 그래프 분석 결과
6. 느낀 점
본문내용
로렌츠 곡선
로렌츠 곡선이란 하위 x%의 가구가 y%의 소득이 분배될 때의 확률 분포를 누적분포 함수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한 사회의 인구를 누적시킴에 따라 한 사회의 소득이 누적되는 비율을 나타낸 곡선이다. 로렌츠 곡선은 항상 (0,0)에서 시작해 (1,1)에서 끝나며, 따라서 절대적으로 평등한 사회의 로렌츠 곡선은 아래 그림의 초록색 선과 같이 y=x의 그래프로 나타난다. 반대로 절대적으로 불평등한 사회에서는 빨간색 선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이 때 초록색 선을 완전균등상태, 빨간색 선을 완전불균등상태라고 한다.
현실 사회에 완전균등상태, 완전불균등상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소득이 낮은 순서로 누적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로렌츠 곡선은 미분계수가 점차 증가하는 오목한 그래프로 나타난다. 이 때, 로렌츠 곡선과 완전균등선 y=x 사이의 면적이 불평등한 정도가 되며, 로렌츠 곡선이 완전균등선에 가까울수록 평등한 사회, 멀수록 불평등한 사회임을 나타낸다.
지니계수
지니계수는 이를 계수화한 것이다. 로렌츠 곡선은 한 사회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데에는 용이하지만 서로 다른 로렌츠 곡선이 교차하는 경우에는 불평등 정도를 비교하기 곤란하다. 지니계수가 이 단점을 보완하는 통계학적 지수다. 지니계수는 로렌츠 곡선과 완전균등선 사이의 면적(불평등면적)을 완전균등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