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ⅰ 급성 기관지염
ⅱ 급성 부비동염
Ⅱ 간호과정
ⅰ 간호사정
1. 개인력&건강력&간호력
2. 간호정보조사지
3. 신체검진
4. 약물
5. 진단검사&활력징후
6. 아동의 성장과 발달
7. 부모의 양육태도
ⅱ 간호진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ⅰ 급성 기관지염
1. 정의
기관지염은 폐의 기관지 염증으로 인해 기관의 점막이 붓고 점액이 많아지는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급성기관지염은 주로 상기도감염 후에 발생하므로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해 쉽게 상기도 감염에 걸리는 소아에서 호발 하는 경향이 있다. 그 외에도 인플루엔자, 백일해, 홍역,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성홍열 감염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2. 원인
대부분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상기도감염 후 발생하지만 세균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주된 원인 바이러스는 influenza B, influenza A, parainfluenza,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등이 있으며, 상기도 감염 즉, 감기의 흔한 원인균인 coronavirus, rhinovirus, adenovirus도 급성 기관지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성 기관지염의 경우, 감염된 사람과 접촉하거나 혹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세균성 기관지염은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 후 발생하기도 하는데 폐렴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l pneumoniae), 폐렴 클라미디아(Chlamydia pneumoniae), 백일해 균(Bordetella pertussis) 감염이 급성 기관지염을 일으킨다. 또한 찬 공기, 먼지, 기도 자극 물질, 유해가스 등 비 감염성 원인도 존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