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응급간호학, 뇌전증(epilepsy) 문헌고찰, 발작, 발작 응급처치 방법

목차

Ⅰ 문헌고찰
1. 뇌전증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발작의 분류 및 증상과 징후
5. 진단적 검사
6. 투약

Ⅱ 발작 사례

Ⅲ 발작 응급처치 방법
1. 현장에서 응급처치 방법
2. 병원에서 처치 방법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뇌전증 (epilepsy)
수억 개의 뇌신경 세포 중에서 일부가 짧은 시간동안 과도한 전류를 발작적으로 발생시킴으로 나타나는 이상을 발작 혹은 뇌전증이라고 한다. 이러한 발작이 두 번 이상 반복해서 생기는 것이 뇌전증이다.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 2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만약 뇌전증 발작이 1회만 발생했다 하더라도, MRI, CT 등에서 뇌전증을 일으킬 수 있는 병리적 변화가 발견된다면 뇌전증으로 분류한다.

2. 원인
유전적인 요인, 저혈당, 뇌 손상, 발달 장애, 유전성 대사 이상, 뇌종양 또는 감염 등이 뇌전증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뇌전증은 다양한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아동이나 젊은 성인들에게 발생한다.

3. 병태생리
발작은 대뇌피질에서 시작하여 신경 세포막이나 주위세포의 불안정 또는 여러 신경전달 물질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서 비정상적인 전위를 생성하여 증상이 발생한다. 발작은 뇌세포 집단이 빠르고 반복적이며 동시적인 전기적 방전을 다량 방출할 때 시작된다. 세포막이 전기적 방전을 안정화시키지 못하여 나타나는 발작이 발생된 시점을 발작역치라 하는데 발작역치가 낮은 사람들은 발작이 일어날 경향이 많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