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A. 추가적인 인지 및 행동 기법들
1. 문제해결
2. 결정하기
3. 재집중
4. 활동차트를 사용하여 기분과 행동을 측정하기
5. 이완기법과 마음챙김
6. 점진적 과제 부여
7. 직면
8. 역할연기
9. “원”기법을 사용하기
10. 자기비교와 칭찬받을 목록
B. 심상
1. 심상을 식별하기
2. 심상에 대한 환자의 교육
3. 자발적 심상에 반응하기
4. 치료도구로서의 심상유도
Ⅲ.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Ⅰ. 서 론
본 발제자는 한 개인의 부정적 신념과 행동들을 긍정적으로 변화를 이끌기 위해 점진적으로학습하고 있다. 그래서 한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오랜 시간에 걸친 환경과 경험들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신념과 행동들이 얼마나 많이 누적이 되었으며, 수동적으로 살아왔는지 알 수 있다. 새로운 인지행동 기법들과 심상의 영향에 반영하여 능동적인 변화를 받아들이고 쌓아왔던 사고의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유연하고 적극적인 존재로 삶을 채우고, 자신의 환경이 어떠하든지 받아들이며 합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존재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Ⅱ. 본 론
제 15 장 추가적인 인지 및 행동 기법들
1. 문제해결
환자들은 심리적 장애와 연관되거나 실제 생활에서 문제를 지니고 있는데 치료시간에 그 주에 발생한 문제나 다음 주에 발생할 문제들이 논의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이때 치료자는 환자들이 해결방법을 고안하도록 격려하기 위해서 이전에 비슷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어떻게 해결할지 자문해보고 필요하다면 치료자가 직접 해결 방법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문제해결기술이 결여될 경우, 치료자가 직접 가르쳐 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문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여러 해결책을 만들어 선택하여 실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D’Zurilla와 Neru, 2006, 참조).
사회기술이 부족할 때 치료자나 다른 도움을 통하여 효과적인 부모 되기, 구직 면접, 재정관리, 대인관계 기술 등의 훈련을 위한 책자들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역기능적 믿음을 검증하는데 도움이 필요한 문제 해결 작업지(J. S. Beck, 2011)는 환자들이 가진 잠재적인 해결책을 토의하기 전에 문제를 특정화하고 식별하며 방해하는 인지들에 대해 반응하는 것을 도와준다.
경우에 따라 매 맞는 배우자의 경우, 상황에 대해 평가한 후, 치료자는 안전한 피난처를 찾거나 법적 소송을 하도록 격려하고, 직업에 대한 문제에서는..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