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필요성 목적
2. 자료수집 방법
3. 지역사회 간호과정
1) 지역사회 특성
2) 인구학적 특성
3) 사회 경제적 특성
4) 건강수준
5) 지역사회 자원
6) 환경적 특성
7) 지역과정
4. 지역사회 자료분석 및 간호진단
5. 간호진단 중 우선순위 선정
본문내용
Ⅰ. 필요성 목적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지역사회에 초점을 둔 것으로, 대부분의 간호사가 개별 환자를 중심으로 간호를 제공할 때 사용하는 간호과정과 유사하다. 우리 평택보건소 3조는 이 간호과정을 통해 평택 지역사회주민에게 나타나고 있는 건강 문제 등을 규명하여 지역사회가 건강을 회복하고 성취하며 최적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도록 하는 하나의 과정을 수립할 것이다.
Ⅱ. 자료수집방법
평택시청 홈페이지, 통계청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간접 정보 수집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다. 사회 경제적 특성’ 부분에서는 차창 밖 조사를 통하여 직접 정보 수집을 사용하였다.
Ⅲ. 지역사회 간호사정
가. 지역사회 특성
1. 위치
1-1. 행정적 위치
평택시는 국토 공간상 한반도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경기도의 남서부에 자리 잡고 있다. 역사적 변화를 거치며 지금 모습이 되었으며, 동쪽은 안성시 공도읍, 용인시 남사면과 접하고, 서쪽은 황해안(서해안)과 접한다. 남쪽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아산시 둔포면, 천안시 성환읍과 접하고 북쪽은 화성시와 오산시에 접하고 있다.
1-2. 수리적 위치
평택시의 지역 범위는 여러 차례 변화해왔다. 수리적 위치는 경도와 위도의 숫자로 표현되는 절대적 위치이다. 평택시는 북위 36°54‘에서 북위 37°08′까지이며, 위도 간격 13’차이로 남북 거리 차이가 26.94㎞이다. 경도는 동경 126°46‘에서 동경 127°09’으로 동서 거리 차 33.38㎞이며 면적은 457.47㎢이다.
1-3. 지형적 위치
한반도 특유의 노년기 최후 단계인 저산성 구릉들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높은 산지보다는 낮은 구릉이 많은 지역이다. 평택은 이러한 산지 형태의 지형이 동북으로는 용인시 산악의 여맥으로 이어진 진위면 봉남리 무봉산 자락에 가곡리, 견산리 일대의 구릉지가 산재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