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시각장애의 개념과 특성>
<시각장애-통합교육을 위한 접근>
<시각장애-보건교사로서의 역할, 강조점>
<청각장애의 개념과 특성>
<청각장애-통합교육을 위한 접근>
<청각장애-보건교사로서의 역할, 강조점>
<지체장애의 개념과 특성>
<지체장애-통합교육을 위한 접근>
<지체장애-보건교사로서의 역할, 강조점>
본문내용
시각장애는 목적에 따라 의학적/법적/교육적으로 나눌 수 있다. 교육적 맹의 정의는 학생이 시력을 학습의 주된 수단으로 사용하는 능력에 초점을 두고 내린 것이다. 따라서 시력을 사용하지 않고 청각과 촉각 등 다른 감각으로 학습하는 아동은 교육적 맹에 해당한다. 교육적 저시력은 시력을 학습의 주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국립특수교육원에서 시각장애, 맹, 저시력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시각장애는 두 눈 중 좋은 쪽 눈의 교정시력이 0.3미만이거나 교정한 상태에서 학습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자를 말한다. 맹은 두 눈 중 좋은 쪽 눈의 교정시력이 0.05미만이거나 두 눈 중 좋은 쪽 눈의 시야가 20도 이하인 자 또는 학습에 시각을 주된 수단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촉각이나 청각을 주된 수단으로 사용하는 자를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