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가 작성한 A+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급성호흡부전(ARDS) + MR(승모판역류증)

목차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도출
3. 출처

본문내용

ARDS(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의 진단기준

1.호흡곤란의 급성 시작
2.PAO2/FIO2 비율이 300mmHg 미만
3.양측성 폐 침윤
4.심부전으로 인한 체액 저류가 폐부종의 주 원인이 아닐 것

증상
호흡곤란: 가장 흔한 증상, 환자는 휴식을 취해도 쉽게 숨쉬기 어려움을 느낌
불안 및 초조: 호흡곤란으로 인한 불안감과 초조함이 동반됨
흉부 불쾌감: 가슴에 불편함이나 압박감을 느낄 수 있음
기침: 때때로 건조한 기침이 수반될 수 있음

치료 방법
ARDS 치료는 근본적인 원인과 증상의 완화에 중점을 둠

산소 요법: 환자에게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됨
기계적 환기: 심각한 호흡곤란이나 산소 전달 능력 저하 시 사용됨
이는 폐의 기능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함
원인 치료: ARDS를 일으킨 근본적인 원인, 예를 들어 감염의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는 등의 치료가 필요함
체액 관리: 체내 체액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며, 때때로 이뇨제가 필요할 수 있음
스테로이드 치료: 일부 환자에서 염증을 줄이기 위해 스테로이드가 사용될 수 있음
저초기량 환기 전략(low tidal volume ventilation): 폐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는 환기 방법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폐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
추가적으로, ARDS 환자는 종종 중환자실에서 치료받게 되며, 다학제 팀의 철저한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함

MR(mitral regurgitation) 진단기준/증상/일반적인 치료방법

승모판 역류증(MR, Mitral Regurgitation) : 승모판이 닫히지 않아 혈액이 심실에서 심방으로 역류하는 상태

MR, Mitral Regurgitation(승모판 역류증)의 진단기준
진단기준:심초음파 검사를 통해 MR의 진단과 역류의 중증도를 평가

증상
MR의 증상은 경미할 때는 자각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질병이 진행될 경우 숨참, 피로감, 심계항진 등을 경험할 수 있음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 심부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