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학의 정의와 윤리

목차

1. 임상심리학의 이해
1) 임상심리학의 정의
2) 임상심리학과 유사 분야의 공통점과 차이점

2. 임상심리학자의 기능과 역할
1) 심리평가
2) 심리치료
3) 연구
4) 교육
5) 자문 및 행정

3. 임상심리학자 현황과 자격증
1) 임상심리학자 현황
2) 국내 임상심리학 관련 자격증
3) 임상심리학의 현재와 미래

4. 임상심리학자의 윤리

5.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1. 임상심리학의 이해

1) 임상심리학의 정의
임상심리학(Clinical Psychology)은 인간의 심리적 고통이나 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전문 분야의 학문이다. 임상심리학이란 용어는 임상심리학의 창시자 라이트너 위트머(Lightner Witmer)가 1907년 처음 사용하였고, 그는 “인간의 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 연구하는 학문”으로 임상심리학을 정의하였다.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에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임상심리학은 인간의 정신과 행동 건강을 종합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전문 분야로 다양한 정신병리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분야다.”

『미국심리학회의 제12분과인 임상심리학회(Society of Clinical Psychology)에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임상심리학은 지적 · 정서적 · 생물학적 · 사회적 · 행동적 부적응 및 장애를 이해하고 예측하며 부적응 증상의 완화를 위한 방법 및 절차 관련 연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분야다.”

이렇듯 임상심리학에서는 이론과 실무 경험을 골고루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하고 훈련한다.
그리고 임상심리학은 다양한 주제와 영역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Norcoss, Vandenbos, & Freedheim, 2016).

⦁대상 연령에 따라…. 유아 임상심리학, 아동 임상심리학, 청소년 임상심리학, 성인 임상심리 학, 노인 임상심리학
⦁주제 또는 영역에 따라…. 가족 임상심리학, 지역사회 임상심리학, 건강 임상심리학, 신경 임상심리학, 범죄 및 법정 임상심리학 등.
⦁새로운 영역…. 직업 임상심리학, 스포츠 임상심리학, 임상 행동분석 등.

2) 임상심리학과 유사 분야의 공통점과 차이점

(1) 정신의학
정신의학은 개인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병리적인 문제나 증상을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임상심리학과 공통점이라 할 수 있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