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실천과정 중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목차

I. 형성평가
(1) 운영과정평가
(2) 좁은 의미의 형성평가

II. 총괄평가
(1) 효과성 평가
(2) 효율성 평가
(3) 모니터링 평가
(4) 메타평가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성평가는 프로그램 진행 중에 프로그램의 원활하고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수정 ㆍ 보완할 목적으로 실시되는 평가이다. 형성평가는 귀납적 방법에 의하며 항상 변화하는 프로그램의 전달, 기관의 운영상황 또는 클라이언트의 변동하는 요구 등 “앞으로의 결정을 위하여 알아야만 될 것이 무엇인가에 평가의 초점이 있다. 형성 평가는 모니터링(Monitoring)의 테크닉과 환류(feedback)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융통성이 많은 것이 특징의 하나이다.

형성평가는 대체로 4단계의 과정을 거치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단계 :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무엇이 문제이며, 누가 이 문제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2/ 2단계 : 필요한 정보는 어떻게, 어디에서 수집하는가?
3/ 3단계 : 수집된 정보의 질은 어떠한가?
4/ 4단계 :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한 사람은 누구인가?

(1) 운영과정평가

활동을 계획에 근거하여 확인하면서 프로그램이 의도대로 운영되는지, 그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운영절차와 자원, 서비스 전달, 프로그램의 대상영역을 점검하는 것이다. 운영과정평가는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1/ 원래 운영계획대로 활동이 이루어졌는가(activity)?
2/ 계획된 양 ㆍ 질의 자원(인적 ㆍ 물적)이 계획된 시간에 투입되었는가(inputs)?
3/ 원래 의도한 프로그램 대상 집단을 상대로 실시되었는가(coverage)?
4/ 관련된 법규나 규정에 순응하였는가(compliance)?

(2) 좁은 의미의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결과로 하고 프로그램을 원인으로 한 인과관계와 개입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프로그램 효과 발생의 경로를 밝혀 다른 상황에서의적용 가능성과 프로그램 실패의 원인인 인과 경로의 오류를 밝힌다. 이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