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 보고서_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

목차

1. Emergency cart 약물

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3. 응급환자 분류체계

4. 기관 내 삽관
1) 목적
2) 준비물품 및 방법
3) 합병증
4) 간호

5. CPR 간호
1) 기본심폐소생술(BLS)
2) 전문심폐소생술(ACLS)
3) 심정지 후 통합치료

6. 출혈 및 쇼크환자 사정 및 간호
1) 출혈환자
(1) 사정
(2) 간호
2) 쇼크환자
(1) 사정
(2) 간호

7. 외상환자 사정 및 간호
1) 복강 내 손상
2) 분쇄손상
3) 다발성 손상
4) 골절

8. 호흡곤란 환자 사정 및 간호
1) 사정
2) 간호

9. 급성 흉통호소 환자 사정 및 간호
1) 사정
2) 간호

10. 뇌졸중 환자 사정 및 간호
1) 뇌조직관류증진
2) 운동기능증진
3) 감각 지각기능증진
4) 편측 지각기능증진
5) 의사소통증진
6) 삼킴기능증진
7) 합병증 예방 및 관리
8) 대상자와 가족교육

11. 약물 남용 및 약물 중독자 치료 및 간호
1) 사정
2) 응급처치
3) 금단증상에 대한 간호
4) 급성 중독에 대한 간호
5) 대상자/가족 교육

12. 감염관리 간호 – 격리환자 간호
1) 표준감염관리
2) 전염경로에 따른 감염관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응급환자 분류체계
● 환자분류체계는 신속하게 의학적 중재를 받아야 하는 위중한 사람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형 중증도분류체계(Korean Triage and Acuity Sclale, KTAS, 대한응급의학회)를 이용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모든 환자를 중증도분류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분류한다.
● 응급실 내원 시 주 호소, 증상의 구체적인 내용, 현병력, 과거력, 약물 복용력 등을 문진하면서 일반적 증상을 사정한다. 이후 의식수준, 맥박, 호흡 등 활력징후, 혈역학적 상태 등 검사결과를 우선적으로 평가한 후 통증, 출혈성 소인, 사고기전, 혈당, 탈수, 고혈압, 임신, 정신건강 상태 등을 차례로 평가하여 자세히 분류한다.

<중 략>

4. 기관 내 삽관
1) 목적
● 급성 호흡부전, 중추신경 억제, 후두경련, 상기도 폐쇄 시 삽입되고, 기관 깊은 곳의 분비물을 제거하고 기계적 환기를 적용하여 호흡기능을 도와주는 방법이다.

2) 준비물품 및 방법
● 준비물품
– oral airway 또는 bite block, Endotracheal tube(#7.0~8.0), stylet, Laryngoscope 또는 비디오 Laryngoscope & Blade, 흡인기와 흡인카테터, 10cc 주사기, Ambu-bag, Mask, O2 line, O2 flowmeter, 증류수, 청진기, 고정 테이프, N/S 1L 1bottle, 멸균장갑, 약물(진정제, 근이완제)

● 방법
① 손위생을 실시하고 물품을 준비한다.
② 환자를 앙와위로 하여 머리를 약간 신전시킨 후 침상 위쪽으로 위치하게 한다.
③ 멸균장갑을 착용하여 구강 내 분비물을 흡인한다.
④ 산소를 연결하여 30초정도 ambu bagging을 시행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