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간호진단 – 약물 중독, 락스(drug intoxication)

목차

Ⅰ. 질병기술 – Drug Intoxication(락스 중독)
1. 정의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검사
5. 치료와 간호

Ⅱ. 응급실 환자 간호 Critical pathway
1. ER 환자 건강사정
2. 진단검사
3. 투약
4. 처치 및 진료계획
5. 진료 후 결정

Ⅲ. 간호과정
1. 가능한 간호진단 목표
2. 간호진단 우선순위 설정
3.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Drug Intoxication(DI)란 과용량의 약물 혹은 인체에 해가 되는 물질이 흡수되어 인체 조직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응급실을 내원한 손상 환자 중 의도성은 질병 외로 분류하고 손상 발생 원인에 따라 의도성 여부를 분류하고 비의도적 사고(accidental, unintentional), 폭력/타살(violence, assault), 자해/자살(intentional self-harm, suicide), 기타(other specified), 미상으로 분류한다. 응급의료센터의 손상 기전은 교통수단 혹은 그 외 관통상, 화상, 익수 등 손상이 발생한 기전으로 교통사고, 추락(fall), 미끄러짐(slip down), 베임/찔림(firearm/cut(sharp objects)/pierce), 부딪힘(struck by person or object), 기계 (machine), 익수(drowning or nearly drowning), 화상(fire, flames or heat), 질식(choking)/목맴(hanging), 중독(poisoning), 기타와 미상 12가지로 구분한다.
이중 중독(poisoning)은 고체, 액체, 기체에 의한 중독, 유독성 동식물(가시)에 의한 접촉 및 섭취, 가스에 의한 질식, 독성이 있는 동물에 의한 교상 혹은 접촉 등을 의미한다.

2. 병태생리
일반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백제나 살균제인 락스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Sodium hypochlorite)을 포함한 염소계 화학복합제이다. pH 11에서 12 정도의 알칼리성 제재인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음독하였을 경우 자체로도 독성을 나타내나, 체내에서 염소 가스를 발생시키거나, 염산을 생성하여 이차적으로 장기를 부식시키거나 손상을 주게 되는 부식성 물질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