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교수님께 칭찬받은 PPROM 여성건강간호학 간호과정 보고서

목차

Ⅰ. 서론
1. 케이스를 선정한 의미
2.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도구
1. 간호 사정 도구
2. 대상자의 건강사정
3. 대상자의 진단 검사 결과
4. 대상자의 약물 치료

Ⅲ. 간호과정 적용하기
1. 대상자의 질병에 관한 간호 진단 목록 및 우선순위
2. 간호과정 적용하기

본문내용

1. 문헌고찰 – PPROM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수)
1) PPROM 정의
– 만삭 전 조기 파막 (Preterm prelabor rupture of membranes (preterm PROM, PPROM)
– 임신 37주 이전에 파막되는 것으로 만삭 전 조기 파막의 대부분은 감염으로 인한 양막의 병리적 쇠약, 자궁 수축으로 인한 스트레스, 또는 자궁 내압을 상승시키는 다른 요인으로 발생된다.
– 오직 2%의 임신에서 일어나는 합병증이지만, 조산의 40%에 관련이 있다.

2) PPROM 원인
– 만삭 전 조기 파막과 관련된 이전의 조산력
– 경부 원추 절제술 혹은 자궁 경부 원형결찰의 과거력
– 비뇨기 또는 생식기 감염
– 질 초음파 검사 시 짧은 자궁 경부 길이 (<25mm) - 이번 임신에서 조기 진통 혹은 증상을 보이는 자궁수축 - 국소적 태아막 손상과 태아막의 생리적 해부학적 이상 - 자궁의 과도 팽만 - 임신 2기 혹은 3기의 출혈 - 폐 질환 - 결합조직의 장애 -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 낮은 체질량 지수 (BMI) - 영양부족 (구리와 비타민 C, 아연) - 흡연 * 난임 치료를 하면 배란 유도제의 영향으로 다태아 임신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 다태 임신은 전치태반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유착 태반이나 출혈이 많으면 자궁 적출술을 진행할 수 있지만 질 출혈이 없거나 태아가 건강한 경우 즉시 제왕절개술이 가능하다면 지켜볼 수 있다. 3) PPROM 병태생리 - 양막은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임신 초기에 형성되며 안에는 양수가 차 있어 태아를 보호하고 태아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해준다. - 감염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며, 영양을 공급해주며 탯줄 압박을 예방해준다. - 양수는 임신 8 주차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10주 – 30ml) - 양막이 터지면 세균이 자궁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