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 고찰
1. 급성 위장염 (AGE)의 정의
2. 병태 기전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와 간호
7. 경과/합병증
8. 예방/생활 습관
Ⅱ. 사례 분석
1. 아동 건강 간호 사정
2. 신체 사정
3. 검사 결과
4. 약물 치료
Ⅲ. 간호과정 적용하기
1. 대상자의 질병에 관한 간호 진단 목록 및 우선순위
2. 간호과정 적용하기
본문내용
사례 대상자에 대한 요약
000님. 2018.08.20. 출생, 3.09세. 6/17일 금요일 입원
과거력: 대혈관 전이증 (TGA) 출생 시 서울 아산 병원에서 수술을 함.
주호소: 6/14일 화요일부터 변이 묽어져 장염 초기로 PO Tx 하였으나 수요일부터 설사와 복통 호소를 하고, 목요일부터 구토와 발열 증상으로 인해 입원함.
진단명 : 아데노 바이러스 장염, 상세 불명의 복통,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급성인지 만성인지 상세 불명인 상세 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 상세 불명의 기능성 장 장애, 감염성 기원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위장염 및 결장염, 상세 불명의 간 질환, 기타 알레르기 비염, 기타 근염, 상세 불명의 패혈증, 상세 불명의 기관지 폐렴
Ⅰ. 급성 위장염(AGE)에 대한 문헌고찰
1. 급성 위장염의 정의
– 위와 소장에 오는 급성 염증.
–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 등에 의해 장점막이 손상되는 것.
– 소아에 있어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
– 점막 내에 주로 중성 백혈구가 침윤하고 형질세포 및 림프구의 수가 약간 증가할 수 있다.
2. 급성 위장염의 병태 기전
– 여러 가지 다양한 유발 원인에 대해 장관이 반응하여 장액이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한다. 이로 인해 복통, 구토, 심한 설사가 나타나며 세포내액의 고갈을 초래한다.
3. 급성 위장염의 유형
1) 세균성 위장염(식중독) : 박테리아가 소장을 감염시키고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 살모넬라, 이질, 캄필로균, 시겔라, 대장균 등의 세균이 일으킬 수 있다.
– 여름에 많이 걸리며, 주된 원인은 오염된 음식과 물이다.
– 또한 일부 약물, 방사선 치료, 자가면역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2) 바이러스성 위장염: 아이들이 입에 자주 갖다 대는 장난감이나 손 등에 의해 많이 걸린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