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고혈압의 정의
2. 병태생리
3. 분류
4. 원인
5. 증상 및 징후
6. 진단
7. 치료
8. 간호
9. 노인을 위한 고려
Ⅱ. 본론 1 – 사례 분석
1. 대상자 사례
2. 대상자 건강사정
3. 대상자의 신체 사정 결과
4. 대상자의 약물 치료
Ⅲ. 본론 2 – 간호과정 적용하기
1. 대상자의 질병에 관한 간호 진단 목록 및 우선순위
2. 간호과정 적용하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례 대상자에 대한 요약
이름: 000
현병력: 고혈압과 당뇨
특이사항
– 허리의 통증으로 인해 다리가 잘 움직이지 않음.
– 복지관의 친구가 한 명인데, 그분이 복지관을 잘 오지 않으셔서 현재는 복지관을 혼자 다니시고 계심.
– 말수가 적으시며, 무력한 모습을 자주 보이고 계심.
– 고혈압을 앓고 계시지만, 약물에 대해 잘 모르고 약물을 드시기는 하지만 까먹으면 그냥 넘기시는 등 약물의 중요성에 대해 잘 모르고 계심.
– 당뇨병을 가지고 계심.
Ⅰ. 서론 – 문헌고찰
1. 고혈압의 정의
● 혈압
- 혈관 벽에 가해지는 혈액의 압력으로, 심박출량과 전신혈관저항을 곱해서 나온 것
- 심박출량은 1회 박동량과 1분간의 심박 동수에 의해 결정된다.
- 활동 및 휴식 시 조직관류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 혈압은 일차적으로 심박출량과 전신혈관저항에 영향을 받는다.
● 고혈압
- 혈압이 140/90mmHg 이상인 상태이다.
-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서, 뇌졸중, 심근경색증, 울혈심부전, 콩팥병, 말초혈관질환, 관상 동맥 질환과 같은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므로 조기진단과 효과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 본태 고혈압과 이차 고혈압으로 나눠지는데, 본태 고혈압이 90% 이상이다.
* 120/80mmHg 정상
* 120~129/80mmHg 미만일 때 : 주의 혈압
* 120~139/80~89mmHg : 고혈압 전 단계
* 140~159/90~99mmHg : 고혈압 1기
* 160/100mmHg 이상: 고혈압 2기
* 당뇨병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의 목표 혈압
– 140/85mmHg 미만
– 심혈관 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는 혈압을 130/80mmHg 미만으로 조절해야 함.
– 당뇨로 진단받은 순간 바로 약을 먹어야 하고, 고혈압약도 꾸준히 먹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