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적 주의 연구

목차

1. 주의 연구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2. 인지행동적 주의 연구
3. 인지신경과학적 주의 연구
4. 주의와 낯선 형태의 지각
5. 주의와 다른 인지 과정의 관계
6. 주의와 실수

본문내용

우리의 장기기억에는 엄청난 많은 정보가 저장되어있다. 이 정보들은 대부분 동시에 우리의 감각기관이나 인출기관들에 주어진다. 그러나 어느 한 상황에 적합한 행동을 하려면 한두 물체나 대상에 관한 정보들만 필요하다. 잠재적으로 무한한 정보가 제공되지만, 사람들이 지각하고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고 각 상황이 요구하는 반응 때문에 정보를 선택해야 한다. 반대로 주의가 없는 상황을 상상해 보자. 어떤 정보를 택해 반응해야 할지 모르므로 시행착오적으로 행동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혼란스런 상황은 사람의 안전과 생존을 위협할 것이다.
주의(attention, 注意)는 정보처리의 순차성(serial processing)이 그 핵심인데,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유기체가 표적정보를 받아들이려고 최적의 준비상태에 있는 경계기능, 감각기관이 받아들인 많은 정보들 중 대부분은 무시하고 그중 몇몇을 택하여 의미를 처리한 다음 적절하게 반응하는 선택기능, 제한된 처리용량을 둘 이상의 과제에 배정하는 기능 등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